영화 '연가시' 줄거리
이 영화는 2012년도에 개봉한 영화이다. 누구도 피해 갈수 없는 감염의 공포로 인해 대한민국을 초토화 시킨다. 고요한 새벽녘 한강에서 뼈와 살가죽만 남은 참혹한 몰골들의 시체들이 떠오르게 된다. 이를 비롯하여 전국의 모든 하천들에서도 변사체들이 발견이 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죽음을 유도 하는것이 변종 연가시이다. 이 연가시는 인간의 뇌를 조종하여 물 속에 뛰어들게 하여 익사를 시키는 방법이다. 연가시의 잠복긴간은 짧으며 치사율은 100프로 이다. 대한민국의 4대강을 타고서 급속도로 빠르게 번져나게 되면서 대한민국을 초토화 시킨다. 이러한 연가시로 인해서 사망자수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사망자 수들이 급속도로 늘어나자 정부에서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여 감염자 전원을 격리 수용하는 대응에 돌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성을 잃은 감염자들은 이러한 통제를 뚫고서 물가고 뛰쳐나가려고 발악을 한다. 한편 일에 치여 가족들을 챙기지 못해던 제약회사 영업사워 재혁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연가시에 감염이 되어버린 가족들을 위해서 치료제를 찾아 고군분투 하게 된다. 과연 재혁은 가족들을 살릴수가 있을까?
'연가시' 등장인물
이영화는 4명의 주인공이 등장한다. 김명민, 문정희, 김동완, 이하늬이다. 재역 역을맡은 김명민은 제약회사에 다니는 영업사원이다. 재혁(김명민)은 일에 치이다 보니 가족들이 연가시에 감염이 된것을 뒤늦게야 알게 된다. 그러면서 약을 찾아 다니기 시작한다. 약을 찾아다니면서 이상함을 감지하게 된다. 과연 재혁은 가족들을 살리고 약도 구할수 있을까? 경순 역을 맡은 문정희는 재혁의 아내이다. 경순(문정희)은 자기 자신의 아이와 함께 연가시에 감염이 되기 시작한다. 감염이 되면서 사람들을 가둬놓고 통제를 하는 곳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그곳에 모든 사람들은 감염이 되어 통제를 뚫고서 나가려고 한다. 경순은 재혁의 아이와 함께 살수 있을까? 재필역을 맡은 김동완은 재혁의 동생이다. 전직 형사지며 강력반 소속이다. 재필(김동완)은 형인 재혁을 꼬드겨서 주식을 하게 된다. 주식을 하다가 망하게 되는데 그때 신고 전화를 받고 나가게 된다. 출동을 한 곳에서는 수많은 변사체가 떠오르는 것을 발견한다. 재필은 범인을 잡을수가 있을까? 연주역을 맡은 이하늬는 과학자이자 질병관리본부 소속 연구원이다. 연주(이하늬)는 재필의 여자친구이다. 연주는 윈다졸이라는 약이 연가시 치료에 특효약이라면서 재혁에게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재필의 주식으로 인해 돈도 많이 빌려 주게된다. 그러나 등장이 너무 적어서 아쉽다.
국내 관람객들의 반응
이 영화는 개봉을 하자마자 최고의 흥행을 하기 시작한다. 다들 영화는 재미는 있었으나 영화에서 나오는 재혁역을 맡은 김명민이 너무 답답하다는 평이 많았다. 그리고 말도 안되는 설정이다라는 평도 있었다. 이영화는 고구마 100개를 먹은것 같다라는 평이다. 그리고 가족들이 감염이 되고 아픈데도 감성적이지 않고 주인공 사리분별도 안되는 영화라는 말이 많다. 대부분의 관람객들은 평을 좋지 않게 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이영화는 최고의 흥행을 하였다. 반면에 다른 관람객들은스릴있고 박진감은 있으나 김명민이 너무 답답 하다는 평도 있다. 굳이 약이 실린 차량을 끌고서 모든 사람들이 보는 데로 가지고 나왔어야 했는가 이다.
'연가시'결말
김명민은 약을 구할수 없어서 좌절하고 있던 그는 문득 아이들과 비누를 만들었던 것 기억하고 약의 유효성분만 같으면 윈다졸이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것을 깨달은 재혁은 제약회사로 달려갔지만 제약회사 정문에는 감염자들이 약을 얻으려고 경비들과 고군분투 하고 있었다. 재혁은 최후의 수단으로 탑차로 정문을 돌파하고 연구원들에게 원료 성분을 구해서 다른 제약회사들이 카피약을 만들수 있도록 한다. 결국은 재혁덕분에 치료제가 만들어지고 재혁의 가족들과 감염된 후 살아있던 모든 사람들이 치료가 된다. 재혁의 가족들은 다시 평화를 찾게 된다. 그러한 재혁은 가족들과 행복한 시간을 보내면서 해외여행을 가자고 하는 아내의 말에 재혁은 약국이 많은곳으로 가자고 한다. 이에 아내는 해외에도 연가시가 있을까봐? 라는 농담을 한다. 그러자 재혁의 얼굴은 어두워 지면서 뉴욕의 바닷가에서 한글로 쓰인 옷을 입은 시체가 떠오른다.
나의 개인적인 의견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보았지만 다른 관람객들 처럼 김명민이 정말 답답하였다. 굳이 저렇게까지 해서 모든 사람들이 알기 쉽게 그렇게 했어야만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를 만든 사람의 입장으로 생각을 해보면 그렇게 해야만이 스토리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영화를 만든 사람이 문제는 아니다. 감독은 작가가 써준 것을 보고 그대로 영화로 만든것 뿐이다. 그리고 배우들은 거기에 맞게 연기를 할뿐인데 굳이 감독과 배우들이 욕을 먹어야 하는냐도 의문이다. 이러한 영화를 만들게 한 작가가 문제가 아닐까 싶다. 그리고 비현실적인 이야기다. 실제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날일이 만무하지만 일어난다 해도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죽게 되지는 않을 듯 싶다. 혹시 이영화가 현재의 코로나를 예상을 하고 만든 영화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연가시에 감염된 모든 사람들이 죽는거와 코로나에 걸려서 약이 개발되기 까지 많은 사람들이 죽은것고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국가부도의 날'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8 |
---|---|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7 |
영화 '히말라야'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4 |
영화 '안시성'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3 |
영화 '교섭' 줄거리 및 리뷰 (2)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