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국가부도의 날' 줄거리
이 영화는 2018년도에 개봉한 영화이다. 1997년도의 배경을 한 영화이다. 1997년 대한민국 최고의 경제 호황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때이다. 그러나 곧 엄청난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을 예견한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은 이사실을 보고한다. 그러나 정부는 뒤늦게 국가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꾸리게 된다. 한편 곳곳에서는 감지되는 위기의 신호를 포착하고 과감히 사표를 던진 금융맨 윤정학은 국가부도의 위기에 투자하는 역베팅을 하기로 결심한다. 역베팅을 하기 위해서 윤정학은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황을 알리가 없는 작은 공장의 사장이자 평범한 가자인 갑수는 대형 백화점과의 어음 거래 계약서에 도장을 찍는다. 그러나 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은 단 일주일이다. 대책팀 내부에서 위기대응 방식을 두고 시현과 재정국 차관이 강하게 대립을 하게 된다. 시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IMF총재가 협상을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게 된다.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과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사람이 있다. 과연 이들은 국가부도를 막을수가 있을까?
'국가부도의 날' 등장인물
이 영화는 정말 엄청난 배우들이 등장을 한다.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뱅상카셀이다. 한시현 역을 맡은 김혜수는 한국은행 통화정책팀 팀장이다. 한시현(김혜수)은 외환위기 가능성을 예측하고서 보고를 하게 되는데 아무도 한시현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다. 결국은 한시현의 말을 듣지 않은 정부는 결국 IMF를 맞게 된다. 윤정학 역을 맡은 유아인은 금융맨이다. 그러나 국가부도의 위기를 인생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 사표를 던지게 된다. 그러면서 새로운 베팅을 하면서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한다. 국가가 망해가는 상황에서도 큰 이윤을 벌기위해 별의별 방법을 모색하면서 성공을 하게 된다. 갑수 역을 맡은 허준호는 그릇공장의 사장이다. 갑수(허준호)는 대형백화점과의 계약에서 어음 거래를 하게 된다. 그러나 거래를 하였으나 국가부도를 맞게 된다. 재정국 차관역을 맡은 조우진은 재정국 차관이다. 재정국 차관(조우진)은 한시연을 말을 무시한채 IMF를 협상을 통해서 현재의 사태를 빠르게 해결을 하려하고만 한다. IMF총재역을 맡은 뱅상 카셀은 대한민국의 IMF를 총재로서 협상 전부터 무리한 조건들을 제시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무리한 협상을 한시현은 말도 안되는 제시라면서 뭐라고 하게 된다. 그러면서 쫓겨 나게된다. 과연 이들은 안전하게 협상을 할수가 있을까?
국내 관람객들의 반응
이영화는 개봉전부터 최고의 기대를 많이 한 영화이다. 전반적으로 배우들의 연기가 좋고 그시대의 상황을 정말로 잘 재현했다는 평가이다. 이 영화를 본 관람객들은 김혜수의 연기는 정말 하드캐리하다는 평이 많았다. 다른 배우들도 잘했지만 김혜수의 연기력은 정말로 나무랄데 없는 연기였다. 그시대의 상황과 기분을 잘 표현하여 연기를 하였다는 평이다. 그리고 그시대를 버티고 견뎌온 사람들이 정말 대단하다는 평도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시대를 견뎌온 사람들은 다시한번 화를 내거나 아픔이 생각 난다는 평도 있다.
'국가부도의 날'결말
이듬해 한국은 실업자수 130만명 이상의 고실업 국가로 접어들었다. 자살하는 비율은 전년 대비 42프로 증가했다. 이후에 국민들은 자발적으로 금모으기 운동으로 기업들의 부채를 갚는데 쓰이는 역사를 만들어 낸다. 직원들과 가족처럼 지내던 갑수는 이후 아들에게 사람을 믿디 말고 자신만 믿으라는 말을 할정도로 갑수는 변했다. 갑수의 회사에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해서 철거한 갑의 위치에서 냉혹한 인물로 변하게 된다. 갑수의 아들으 베스트 금융 투자 회사에 면접을 보는데 이 회사는 재정국 차관과 실장이 일성 그룹 아들에게 구각 부도릴 미리 경고해준 대가로서 회사를 설립한 곳이다. 한시현은 따로 경제 연구소를 차리고 정부 인사가 찾아와 새로운 경제 위기를 암시하는 것으로서 이 영화는 막을 내린다.
나의 개인적인 의견
이 영화를 보면서 나는 다른 배우들보다는 김혜수가 이영화를 다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김혜수의 연기는 정말로 대단한 연기였다. 정말 김혜수의 연기를 보고 있으면 나도 그시대의 있던 사람들처럼 화도 나고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난 그시대를 살지는 않았지만 정말로 그시대에 있었던 것처럼 느껴졌다. 이영화를 보면서 한시현의 상관들의 행동이 정말로 답답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단 한번만이라도 얘기를 들어주고 상황을 파악을 했다면 그러한 상황이 오지 않았을 것을 말이다. 그러한 IMF를 만든 것이 한사람의 의견을 무시하고 본인들의 생각대로 했기에 IMF시대가 온 것같다. 정부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국민들이 금을 조금씩 모아서 기업들의 부채를 갚은것이다. 정부보다 국민들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은밀하게 위대하게'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7 |
---|---|
영화 '연가시'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5 |
영화 '히말라야'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4 |
영화 '안시성' 줄거리 및 리뷰 (0) | 2024.03.13 |
영화 '교섭' 줄거리 및 리뷰 (2) | 2024.03.12 |